컨텐츠
베르데님의 토이스토리 1기 수료 인터뷰
가장 큰 좋은 점은 기획자를 위한, PM을 위한 토이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프로그램을 별로 못 본 것 같아요. 보통은 개발자들끼리 모여서 하니까 팀에 기획자가 저처럼 포함돼서 함께 협업하는 구성을 그렇게 많이 못 본 것 같아요 . 개발자 틈바구니에서 함께 뭔가 할 수 있다는 점이 좋은 것 같고요. 개발이나 디자인은 필수 직군이지만, 기획은 필수가 아닌 경우가 많잖아요. 잘하는 것과 별개로 기획은 누구나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의현님의 토이스토리 1기 수료 인터뷰
프로젝트 운영 중에 수집한 지표를 분석하니 저희가 기대하는 행동을 사용자가 거의 하지 않아 활성화 되어 있지 않다는 걸 발견했어요 . 그 부분을 게임 튜토리얼 같은 과정을 제공해야 하나 그런 고민이 있어요. 그리고, 저희 서비스가 사용자가 서로 텍스트를 주고 받는 게 특징이잖아요. 이런 텍스트를 AI로 활용하는 아이디어도 있어요.
지영님의 토이스토리 1기 수료 인터뷰
한날님이 굉장히 좋은 분이에요. 한날님은 그러니까 나쁜 말을 하지 않아요. 뭐라고 해야 하지? 불편한 말을 안 하려고 굉장히 노력하시는 분이에요. 그런 분이 많이 없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그런 분이니까 너무 두려워하지 말고 지원을 해보셨으면 좋겠고요 . 그런 좋은 사람을 새로이 만난다는 점도 되게 좋은 기회이니까 지금 당장 신청하세요. 저는 이 프로젝트하면서 되게 좋은 사람들을 만났기 때문에 추천드립니다.
김모씨의 토이스토리 1기 수료 인터뷰
책을 읽어서 공부하며 풀겠다기 보다는 재빨리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전문가에게서 뽑아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말을 해주고 싶어요. 한날님은 코치라고 하셨지만 사수처럼 저희와 함께 하셨어요. 토이스토리는 회사처럼 비즈니스를 하려고 모인 건 아니잖아요. 그래서 프로젝트를 하며 겪는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얘기 나누고 공유할 수 있었는데, 그런 경험은 토이스토리에서 밖에 경험하지 못한다, 그게 가장 큰 장점같아요.
무니님의 토이스토리 1기 수료 인터뷰
한날님이랑 같이 프로젝트를 한다고 하면, 저는 그것만으로도 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포트폴리오 뿐만 아니라 참여자들이 얻어가고 배울 게 되게 많을 것 같아요. 한날님은 사회 경험도 많고 프로젝트 경험도 많잖아요. 한날님이 20년 넘는 시간에서 보고 겪으며 배운 경험이 있을텐데, 토이스토리엔 대개 저연차 주니어들이 참여하니까 한날님 곁에서 확실히 많이 배울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런 사람을 사수로 맞이할 기회는 드무니까 랜선 사수는 가치있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