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HN 소개: CPU 에뮬레이터에서 로봇을 프로그래밍하여 미로 해결하기
2025-02-21 17:30
언젠가 읽기
WASM과 자바스크립트의 미래 요약
소개
- WASM을 통한 브라우저에서 CPU 시뮬레이션 실행 방법 설명.
주요 기능
- 즉시 값 로딩 기능: reg0에 최대 63까지 상수 값 로드 가능.
- 데이터 복사 기능: 레지스터 간 및 입출력 간 데이터 복사 가능.
- 산술 및 논리 연산 기능: reg1, reg2 사용해 reg3에 결과 저장.
- 비교 및 제어 흐름 기능: reg3과 0 비교 후 프로그램 카운터 점프.
- 라벨 기능: 프로그램 내 특정 위치에 이름 부여 가능.
결론
- WASM 활용 시 자바스크립트 한계 극복 가능성 및 효율성 향상 기대.
- 브라우저 기반 애플리케이션 가능성 확대 목표.
참고 자료
- "Understanding Web Assembly"
- "Building a CPU Emulator with WASM"
- "The Future of JavaScript and Web Assembly"
Electric (Postgres 동기화 엔진) 베타 출시
2025-02-21 16:00
언젠가 읽기
Electric 소개
- Postgres 동기화 엔진으로 실시간 부분 복제 제공.
- 데이터 동기화를 통해 로컬 애플리케이션 개발 가능.
- 경량화된 WASM Postgres인 PGlite 개발 중.
베타 릴리스
- Electric 1.0.0-beta.1 출시.
- 베타 단계 도달로 사용자의 재관심 유도.
기능 및 특징
- 실시간으로 Postgres 데이터를 로컬 애플리케이션에 복제.
- 데이터 페칭 방식을 데이터 동기로 대체.
- 브라우저에서 실행 가능한 PGlite 제공.
베타까지의 여정
- 6개월 전 완전한 재작성 시작.
- 첫 커밋 이후 600개의 풀 리퀘스트 처리완료.
- 프로덕션 애플리케이션 도입 준비 완료.
프로덕션 준비 완료
- Google, Supabase, Trigger.dev, Otto에서 사용 중.
- 안정성과 신뢰성 입증.
사용 중인 주요 기업
- Supabase
- Trigger.dev
- Otto
함께 읽으면 좋은 자료
- Electric API 사용법.
- Postgres 데이터 동기화 이해.
- PGlite를 활용한 데이터 관리.
IcePanel 대 Miro
2025-02-21 14:30
언젠가 읽기
IcePanel과 Miro 비교 요약
개요
- IcePanel과 Miro 모두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시각화 도구
- 협업 기능과 보안성 제공
- 용도와 기능 차이 존재
IcePanel
- 소프트웨어 시스템 문서화 전문 도구
- C4 모델 기반 추상화 세트 사용
- 계층적 다이어그램 및 Flows 기능 보유
-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개발자, 비기술적 사용자 대상
- C4 모델 기반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작성 사용 사례
- 비싼 가격 체계, 계층별 할인 제공
Miro
- 아이디어 도출 및 기획 지원하는 화이트보드 도구
- 마인드 맵, UML 다이어그램 등 다양한 템플릿 제공
- 다양한 사용자층 대상
- 플로우 차트, UML, 마인드 맵 작성 사용 사례
주요 차이점
- IcePanel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특화, Miro는 다목적 도구
- Miro의 템플릿 다양성 우위
- IcePanel 특정 규모 이상 할인, 기본적으로 Miro보다 비쌈
결론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집중 시 IcePanel 적합
- 다양한 유형 다이어그램과 협업 필요 시 Miro 선택 가능
캐치테이블에서 신입 PM으로 살아남기 #2. 문제 해결 편.
2025-02-21 13:00
언젠가 읽기
캐치테이블 신입 PM 문제해결 요약
- 좋은 해결 방안의 특징
-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여부 확인
- 고객 선호 방식으로 해결
- 현재 리소스로 실현 가능성 판단
- 문제 해결 과정
- 문제 분석
- 해결 방안 도출
- 실행 계획 수립
- 실행 및 검토
- 참고 자료
- 효과적인 문제 해결 전략
-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원칙
- 프로젝트 관리 기본
캐치테이블에서 신입 PM으로 살아남기 #1. 문제 정의 편
2025-02-21 11:30
언젠가 읽기
- 캐치테이블 신입 PM 소개
- 최종문: B2B 서비스 런칭 담당
- 윤정: 플랫폼 서비스 기획 실행
- 지영: 서비스 개선 및 신규 기능 개발
- 문제 정의의 중요성
- 신입 PM의 도전과 성장
- 지속적 학습
- 팀 소통
- 사용자 중심 사고
- 깨달음과 성과
- 목표 설정
- 커뮤니케이션 강화
- 지속적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