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딩캠프의 전체 뉴스레터

구독하기

0068. 자기주도 학습법 2 - 목표설정과 피드백 실천전략

자기주도 학습은 명확한 목표 설정과 체계적인 피드백 시스템을 기반으로 합니다. SMART 원칙에 따라 목표를 구체화하고, Notion 등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학습 과정을 세밀하게 관리하면, 뇌의 보상체계를 자극하여 학습 동기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인 자기진단과 외부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학습 패턴을 개선하고, IT 직군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도입하면, 사수 없이도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자기개발이 가능합니다.

자기주도 학습법 목표 실천 notion

0065. 자기주도 학습법 1 - 목표설정

뇌과학 연구에서는 목표 달성을 위해 도파민 분비와 보상체계가 활성화된다는 점이 밝혀졌으며, 인지심리학에서는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어려운 과제에도 도전하는 경향이 있음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목표 설정 방법과 피드백 체계 구축법, 그리고 Notion 등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실천 전략을 자세하게 안내드릴 것이며, 본 글에서는 목표 설정 방법과 피드백 체계 구축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 글에서는 실천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피드백 목표 성장 학습 smart 자기주도학습

0059. 프로젝트를 출시해 운영한다는 것.

서비스로 운영하는 건 이번 토이스토리 프로젝트가 처음이에요. 그래서 프로젝트를 출시해서 운영까지 해볼 수 있는 토이스토리에 참여한다는 점에 기대가 더 크기도 했어요. 실제로 출시해 운영해보니 기대만큼 많이 얻어갈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이전 토이 프로젝트에서는 기획 단계부터 출시해서 운영할 생각을 해보지 못했어요. 왜냐하면 같이 프로젝트 참여한 팀원들이 다 비슷한 레벨이다보니 출시해서 운영해야겠다는 생각 자체를 미처 하지 못한 거죠. 기능 구현에 집중해서 다른 생각을 못했달까요? 연차나 경험 같은 게 다른 누군가 있다면 다른 관점이나 아이디어를 낼텐데, 경험이 없는 팀원이 모여있다보니 출시해서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에 미치지 못한 거죠

수료 인터뷰 토이프로젝트 토이스토리 운영 출시

0056. AI를 사수처럼 활용하며 학습하기

직장 생활이든 학습 과정이든, 누구나 사수(Coach)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 봤을 겁니다. 옆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 알려주고, 막힐 때 바로 도움을 주는 사수가 있으면 시행착오를 크게 줄일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매우 많은 사람에겐 실질적으로 사수가 부재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환경에서도 우리는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까요?

토이스토리 토이프로젝트 사수 학습 AI 인공지능

0053. 퇴사 경고를 해도 신뢰가 유지되는 비법

치즈 : 항상 엉덩이가 가벼운 캐릭터로 있지만, 그거는 있는 것 같아요. 저 역시도 최선을 다하고 있고, 문제 푸는 거에 있어서 너희 팀, 나의 팀, 이런 것들을 가리지 않으려고 하고, 가리지 않는 걸 하다 보면 결국에는 엄청나게 얘기를 많이 나누게 되죠. 이런 것들 얘기 많이 하다 보면 실무를 같이 하고, 실무를 같이 하다 보면 농담 따먹기도 많이 하고, 거기에서 일이 많이 몰리면 제가 그냥 가져와서 같이 하기도 하고, 결국엔 그런 스킨십을 많이 해서 제가 농담 따먹기 하는 게 우리가 같이 잘하기 위해서 계속 농담 따먹기를 하는 거고, 제가 런 할 겁니다, 라고 말씀을 드리는 것도 “이것까지는 제가 할 수 있지만 이 외의 것들은 제가 하기 어려우니 이런 것들에 대해서 잘 정리를 해주시고 그 잘 정리를 해주시는 것 안에서는 제가 최선을 다하고 이것까지는 제가 해오겠습니다” 라는 걸 약속하고 지키려 노력을 하는 것 같아요.

운영 출시 토이스토리 경계 신뢰 치즈 서지연

0050.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좋은 방법: 실전 프로젝트로 시작하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다보면 주력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외에도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하거나 다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을 익히는 학습법으로, 기본적인 학습 이론(바람직한 어려움, 교차 학습, 인출 연습, 지연된 피드백, 메타인지 등)은 동일하게 활용하되, 프로젝트를 일찍 착수함으로써 실전 감각을 빠르게 얻고, 이를 토대로 단계별 학습 효과를 높이는 흐름을 다룹니다.

프로그래밍 학습 토이프로젝트 학습

0047. 다양한 직군이 모여 4주짜리 스터디 모임 운영하기

학습 방법으로 스터디 모임을 빼놓으면 섭섭하죠. 이번 편에서는 4주 동안 개발자, PM, UX/UI 디자이너 등 IT 직군 사람이 모여 함께 스터디 모임을 하는 상황을 산정하고, 어떻게 스터디를 운영하면 학습 효과와 효율이 좋을지 살펴보겠습니다.

의도적연습 시험효과 복습 시간지연학습 교차학습 스터디모임 스터디

0044. 개발자를 위한 실천적 학습법

앞서 우리는 학습이 이뤄지는 원리, 그리고 효과와 효율이 좋은 학습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자신의 일에 활용해야 할지 다소 막연하거나 막막하다고 생각할 것 같습니다. 이번 편부터는 다양한 환경에서 어떻게 학습하면 좋을지 실천적 방법을 예로 들며 살펴보겠습니다.

성장 실천 피드백 학습법 개발자

0040. Chloé의 3인칭 연출자 시점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드디어 스터디캠프 2기를 모집합니다. 또한 학습과 성장 컨퍼런스의 연사자이신 Chloé님을 사후 인터뷰하였습니다. 그는 천상 연출가이자 제작자였어요.

스터디캠프 스터디 운영 제작 연출 클로이

0037. 평등에서 상호 코칭을 볼 수 있는 이유

탐정토끼님이 굳게 말합니다. “우리가 도움을 주고 받는 것, 우리 능력이 미칠 수 있는 것들을 넓게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넓게 보면 우리가 정말 다들 기여할 수 있는 게 많이 있고, 세상에 한 명의 천재만 필요한 게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의 의지가 필요한 게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하고 있어요. 제가 푸딩 컨퍼런스에 가서 예상치 못한 깨달음을 많이 얻었다고 봅니다.”

김태희 탐정토끼 코칭 다양성 평등

0034. 컨퍼런스 여는 법 - 페차쿠차 버전

내향형에 컨퍼런스를 개최해본 경험이 없는 한날은 어떻게 학습과 성장 컨퍼런스 2024를 개최할 수 있었을까요? 페차쿠차 발표 형식으로 컨퍼런스 여는 법을 소개합니다.

비전 협업 협력 성장 소프트스킬 컨퍼런스

0031. 알고보니 사인오프에 대해 피토하는 사람

이 컨텐츠는 푸딩캠프가 주최하는 학습과 성장 컨퍼런스 2024에 연사자로 참여한 권준호(콴)님을 컨퍼런스가 끝나고나서 후속 인터뷰한 내용을 다루는 컨텐츠입니다. 사전 인터뷰와 마찬가지로 재밌게 이야기를 전개하기 위해 연사자의 일면을 부각하여 각색한 것임을 알립니다.

치즈 권준호 서지연 PO 결재 책임 문화 조직 사인오프 PRD PM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