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남주님은 몇 차례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스타트업에서 근무하는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회사 근무 환경은 만족스럽지만, 일에 치여 사는 업무량, 고민이 그리 필요하지 않은 업무, 동료가 부족한 환경 등으로 자신의 커리어와 성장에 의문을 가졌고, 그 의문이 나날이 커져서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이번 컨텐츠는 분량이 많아 2회로 나눠 다루겠습니다.
1부. 문제 정의하기
주니어에겐 가혹한 평온한 일상

🧑🦰
유남주
: 안녕하세요. 제 목소리 잘 들리시나요?

🧑🦰
유남주
: 그런 부분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어지간한 복잡한 일도 고객지원(C/S)로 넘기고, 개발팀은 딱 이만큼만 한다는 식으로 넘어가다 보니 업무가 전반적으로 단순하고 반복되는 게 더 저를 고민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
유남주
: 드문 사례(edge case) 정도만 넘기고 있는데, 사실 개발하다보면 드문 사례야 말로 고려해야 할 게 많은 일이잖아요. 그런데 그런 고려를 안 하고 C/S로 넘겨서 해결하다보니 고민 없이 개발한다고 생각한 것 같아요.
🧑🦰
유남주
: 그런 느낌일 것 같네요. 읽어보겠습니다.

🧑🦰
유남주
: 네

🧑🦰
유남주
: 얘기를 나눠봤고 이해가 안 가는 결정이 아니긴 해요. 너무 드문 사례이기 때문에 우리가 공수를 들여서 해결하기 보다는 예외 경우로 C/S 대응하는 게 낫다는 것이었거든요. 저도 동의하는데, 이런 상황이 계속 이어지면 제 커리어에 도움이 되는 게 맞는 건가? 라는 의문이 생겼고, 이 부분은 얘기해보지 못했어요.

🧑🦰
유남주
: 처음에는 그런 분이라 느꼈는데, 뭘 배우면 좋을까, 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
유남주
: 저희가 스쿼드 조직으로 일을 하는데, 너무 분리되어 있다보니까 제가 속한 그룹엔 저와 사수님만 계시고, 다른 동료가 없어요. 또 타 팀하고도 소통을 해보진 않았고요.

🧑🦰
유남주
: 그렇죠. 비슷한 상황이라 생각하고, 기술적으로 다소 다른 게 있긴 하지만 상황과 환경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해요.

🧑🦰
유남주
: 여러 논의를 나누고나서 내린 결론은 “할 수 있으면 해. 근데 일정은 지켜야해” 이런 분위기예요. 근데 일정이 늘 빡빡하거든요.

🧑🦰
유남주
: 그렇죠. 그러다보니 회사와 제품 측면에선 맞는 방향이라는 데 동의하지만, 제 성장 측면에선 맞는 방향인가, 하는 고민을 요즘 많이 해요.

🧑🦰
유남주
: 네, 팀에서 가장 오래 다닌 사람 중에 한 분이세요.

🧑🦰
유남주
: 후자라고 생각하는데, 이 분이 독특한 게 아니라 회사 전체 분위기가 그래요.

코치이자 사수, 아버지

🧑🦰
유남주
: 원리부터 알아가느냐, 써보면서 알아가느냐, 라고 구분했을 때 저는 딱 중도파인 것 같아요. 웹 프레임워크를 학습한다고 예를 들면, 처음엔 API를 어떻게 만드는지 이런 걸 들여다보고 구현해보다가 어느 시점에 이르면 원리를 파고 들어요.

🧑🦰
유남주
: 방금 든 프레임워크를 예를 이어가자면, 무조건 앱을 만들어서 내보내겠다, 사람들 모아서 해보자, 이런 식으로 세우고요. 간단한 건 스터디 정도 만들어서 완주를 목표로 해요.

🧑🦰
유남주
: 제가 학습하고나면 결과물이 있어요. 다 읽은 책 같은 거요.

🧑🦰
유남주
: 보통은 그런 경우 같아요. 다 못 읽어서 완성이 안 됐다는 느낌이 들면 만족하지 못하는 것 같아요.

🧑🦰
유남주
: 회사 다니기 전엔 거의 다 이뤘어요. 근데 회사 다니면서는 일이 많아 바빠서 많이 이루지 못했어요.

🧑🦰
유남주
: 네, 거의 입사할 때쯤부터 였던 것 같아요. 온보딩을 많이 못했어요. 원래 온보딩 기간을 한 달이 주어지는데, 그 마저도 스쿼드 안에서 일주일이면 된다고 줄여서 일주일 만에 업무를 받기 시작했어요.

🧑🦰
유남주
: 뭔가 목표를 세울 때 동기 같은 게 있잖아요. 내가 이걸 왜 시작하는지, 뭘 이루고 싶은지. 저는 그걸 어딘가에 적어두는 편이에요.

🧑🦰
유남주
: 왜냐하면 써두지 않으면 자꾸 희석되어 놓치더라고요. 끝까지 하지 못하는 건 “이거 왜 해야 되지?”로 시작되는 질문에 결론을 내지 못하기 때문이더라고요. 그래서 그걸 방지하기 위해 적게 됐어요.

🧑🦰
유남주
: 그렇게 오래 되진 않아요. 거의 작년 말?


🧑🦰
유남주
: 아버지께서 그렇게 말씀해 주셨어요. 알고는 있었는데, 시도해본 걱 작년 말이 처음이었어요.

🧑🦰
유남주
: 제겐 다 도움이 많이 되더라고요.

🧑🦰
유남주
: 뭐랄까, 사수 이상으로, 큰 그림을 그려주시는 시니어 느낌?

🧑🦰
유남주
: 그게 진짜 이유 같아요.

🧑🦰
유남주
: 채용 기준이 높아요. 그래서 수습 단계에서 탈락하는 수가 생각보다 많아요. 개발팀 내부에서 밀도를 높게 가져가려 해요.

🧑🦰
유남주
: 그러네요.
상황적 고립

🧑🦰
유남주
: 저는 그... 확신을 얻고 싶어요. 내가 하는 일을 누군가 좋게 봐줄까? 라는 것에 의문이 있어요. 요즘 개발자들의 커리어를 보면 되게 기술적으로 깊어진 것 같아요.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나 DDD(Data-Driven Development) 같은 걸 한다든자. 그에 비해 저는 회사에서 정반대의 길을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러다보니 이게 제게 경쟁력이 있는 게 맞나? 라는 의문이 너무 들고, 그래서 제 고민과 의문에 확신을 얻고 싶다는 생각이 많아요.

🧑🦰
유남주
: 개인 면담은 항상 있는데, CTO님과 한 적은 없는 것 같아요. 사수님하고만 했던 것 같아요.

🧑🦰
유남주
: 맞아요. 그런 것 같아요. 아마 조만간 사수님과 가졌던 자리도 없어질 것 같아요.

🧑🦰
유남주
: 9개월 돼가네요.

🧑🦰
유남주
: 하하, 네. 급진적인 생각... 하하.




🧑🦰
유남주
: 아...

🧑🦰
유남주
: 생각해보니 그런 것 같습니다. 맞아요.

🧑🦰
유남주
: 네, 그렇게 생각해요. 맞아요.
2부에서 계속 됩니다.
🚨 본 컨텐츠에 등장하는 인물 중 글쓴이를 제외한 모든 인물의 이름은 가명이며, 지명, 시간, 단체나 기관, 사건은 각색하고 창작하였습니다. 일부라도 비슷하거나 겹치는 경우는 우연히 일치하는 것이니 이 점, 양지해주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