팻 겔싱어와 리누스 토발즈가 이야기하는 리눅스, 오픈 소스, 기술 등 [영상]
Linus Torvalds는 처음에 386 컴퓨터를 사용하며 CPU의 어려운 명령어 세트를 이해하려 노력했으며, 이는 Linux 개발의 시초가 되었다. Linux 운영 체제의 개발은 초기에는 단순한 학습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나, 운영 체제로 발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원래 Linux 프로젝트는 Torvalds의 개인적 학습을 위한 용도였지만, 후에 오픈 소스로 전환되면서 커뮤니티의 참여가 증가했다. 오픈 소스로 전환되면서 다른 사람들의 피드백을 수용하고 하드웨어 지원을 확장하게 되었고, 이는 프로젝트의 동기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Linux는 시장의 많은 운영 체제들과 경쟁하게 되었으며, 이는 프로젝트의 규모를 넘는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Linux 개발팀은 코로나19 기간 동안 분산 개발을 통해 효과적인 작업을 이어갔으며, 이와 같은 방식은 수십 년 전에 이미 자리잡았다. Linux 팀의 핵심 구성원들은 연간 모임을 통해 소통하지만, 주로 이메일을 통해 코드를 논의하고 있다.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진정한 기여를 위해서는 기업이나 개인이 버그 보고 및 프로젝트 지원과 같은 전반적인 과정에 참여해야 하며, 이는 단순히 제품을 사용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Intel은 오픈 소스 생태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그 과정에서 법적인 장애물이 극복되어 더 나은 기여자가 되었다. 오픈 소스는 개발뿐만 아니라 테스트와 문서화, 다른 기업에 참여 방법을 교육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태계에 기여해야 한다.
오픈 소스는 단순한 기술 개발자들만의 영역이 아닌, 다양한 요소와 라이선스 모델이 포함되어 있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오픈 소스 라이선스는 참여와 사용에 대한 제한이 없어야 하며,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오픈 소스 라이선스는 참여와 사용에 대한 제한이 없어야 하며,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의 원리인 tit for tat는 오픈 소스 발전에 효과적인 전략으로, 이는 개인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프로젝트를 개선하면서 결국 모두에게 혜택을 준다. 개인의 필요가 우선시되며, 이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들, 특히 커널이 발전하게 된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기업의 오픈 소스 사용은 초기에는 다양한 비 IT 직군들이 자발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시간이 지나야 지원과 법적 책임을 제공하는 구조가 마련되었다.
AI와 머신러닝에서 데이터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훈련 세트와 데이터 세트의 품질과 관련이 있다. 게임 엔진을 예로 들면, 코드와 데이터가 명확히 분리되어 있으며, 많은 지식재산이 데이터 쪽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윤리적 AI는 알고리즘보다 훈련 세트에 더 많은 영향을 받으며, 불공정한 데이터 세트는 모델의 품질을 의심케 할 수 있다. 하드웨어 개발 측면에서 인텔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결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 환경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기술 표준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가 있으며, 문서화가 이루어질 때 하드웨어의 품질이 향상된다고 언급된다.
Intel은 조만간 개발자들이 더 빨리 제품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를 발표할 예정이다. 강력한 피드백을 얻기 위해, 개발자들이 초기 단계에서 아이디어를 테스트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Intel은 시장 세분화로 인해 특정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기술 문제로 인해 개발자들이 필요한 것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언급한다. 리눅스의 마스코트인 펭귄은 사실 우연한 기회에 호주에서 만난 귀여운 날쌘 펭귄에서 시작되었고, 이는 인식도가 높은 동물로 프로젝트에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후에, 초기의 카툰 같은 로고가 웹에서 친근감과 시각적 매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리눅스 로고가 훌륭한 사례로 남게 되었다.
[출처] Pat Gelsinger and Linus Torvalds talk Linux, open source, technology and more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