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학교는 '교육 형평성'을 실험했다. 실패했다.
학교의 '교육 형평성' 실험과 그 실패
배경
2021년 가을, 뉴튼 공립학교는 코로나19 팬데믹과 원격 학습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 두 고등학교에서 "다단계 교실(multilevel classrooms)"이라는 복잡한 이니셔티브를 시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기존에는 뉴튼 고등학교의 대부분 수업이 명예(honors), 고급 대학 준비(advanced college prep), 대학 준비(college prep) 등으로 분류되었으며, 명예 반이 가장 도전적인 내용을 제공했습니다.
문제점
이러한 "트랙된 수업(tracked classes)" 시스템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신입생이 특정 수준에서 시작하면 수준을 변경하기 어려워져 AP 미적분(AP Calculus)과 같은 고급 과목을 결국 수강하기 더 어려워질 수 있었습니다. 더 나아가, 흑인, 라틴계, 저소득층 학생들이 낮은 수준의 수업에 과도하게 배치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다단계 모델의 도입
다단계 모델은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을 한 교실에 섞어 한 명의 교사가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교육구의 관리자들은 이를 통해 학생들의 수준 간 전환이 용이해지고, 낮은 수준의 학생들도 더 고급 내용에 노출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만날 수 없었던 학생들 간의 유익한 상호작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모델은 뉴튼 남학교의 영어 및 역사 부서와 잘 자금 지원되고 지원받는 특화된 선택 프로그램에서 일부 성공을 거둔 바 있었습니다.
STEM 및 외국어 수업에서의 도전
저자는 이 모델이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과목과 외국어 수업에서 어떻게 작동할지에 대해 궁금해했습니다. STEM 과목은 이전 내용을 기반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외국어 교사는 일반적으로 가르치는 언어만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일부 학생들이 자료를 완전히 이해하는 반면 다른 학생들은 능력이나 이전 학습 경험의 차이로 인해 이해하지 못할 때 교사들은 어떻게 수업을 조정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결과
다단계 교실 모델은 특히 STEM 및 외국어 과목에서 예상했던 효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학생들의 능력 차이가 크기 때문에 교사들이 모든 학생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전반적인 학업 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결론
뉴튼 공립학교의 다단계 교실 실험은 교육 형평성을 증진하려는 의도로 시작되었지만, 특히 STEM 및 외국어 같은 과목에서는 성공을 거두지 못했습니다. 이는 학생들의 다양한 학습 수준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는 데 있어 추가적인 고려와 조정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참고 자료
- 교육 트랙 시스템과 그 영향
- STEM 교육에서 형평성 증진 방안
- 외국어 교육의 효과적인 교수법
[출처] My School Experimented with 'Education Equity.' It Fai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