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언젠가 읽기' 컨텐츠는 논문이나 영문 컨텐츠 등 언젠가 읽으려고 즐겨찾기 하고선 읽지 않고 계속 미룰만한 컨텐츠를 읽고 요약하거나 소개합니다.

다운스트림 복원력: 타임아웃, 재시도, 회로 차단기 패턴

언젠가 읽기
2025. 1. 7. PM 5:06:20

다운스트림 복원력: 타임아웃, 재시도, 서킷 브레이커 패턴

개요

분산 시스템에서 서비스 간 의존성이 증가함에 따라, 다운스트림 복원력은 시스템 아키텍처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는 종속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대응하는지와 관련됩니다.

다운스트림 복원력이란?

  • 서비스 A가 서비스 B(또는 서비스 C)에 의존할 때, 종속 서비스에 장애나 지연이 발생해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능력
  • 마이크로서비스와 같은 분산 아키텍처에서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작동하지 않음

주요 패턴

1. 타임아웃

  • 다운스트림 호출에 대한 최대 대기 시간을 설정
  • 응답을 무한정 기다리지 않고 리소스를 해제
  • 서비스의 성능과 안정성 보장

2. 재시도 패턴

  • 일시적인 장애 상황에서 호출을 자동으로 다시 시도
  • 지수 백오프 알고리즘 사용: 재시도 간격을 점진적으로 늘림
  • 일시적 네트워크 문제나 일시적 서비스 장애 대응

3. 서킷 브레이커 패턴

  • 지속적인 실패가 발생할 경우 서비스 호출을 차단
  • 3가지 상태로 구분
    1. 닫힘(Closed): 정상 작동 상태
    2. 열림(Open): 호출 차단, 빠른 실패 처리
    3. 반열림(Half-Open): 제한된 호출 허용, 서비스 복구 확인

중요성

  • 시스템 안정성 향상
  • 리소스 효율적 관리
  • 사용자 경험 개선

키워드

분산 시스템, 마이크로서비스, 복원력, 장애 대응, 서비스 디펜던시

참고 자료

  • 마이크로서비스 패턴
  •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
  • 시스템 설계 원칙

토이스토리 2기 모집 중!
푸딩캠프 뉴스레터를 구독하면 학습과 성장, 기술에 관해 요약된 컨텐츠를 매주 편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