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읽기' 컨텐츠는 논문이나 영문 컨텐츠 등 언젠가 읽으려고 즐겨찾기 하고선
읽지 않고 계속 미룰만한 컨텐츠를 읽고 요약하거나 소개합니다.
캐치테이블에서 신입 PM으로 살아남기 #1. 문제 정의 편
캐치테이블 신입 PM으로 살아남기 #1. 문제정의편
캐치테이블에는 인턴부터 10년 차 이상의 시니어까지 다양한 연차의 PM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신입으로 PM 직무를 시작한 3인의 이야기를 통해, 문제 정의 단계에서 겪는 경험과 깨달음을 공유합니다.
신입 PM 3인방 소개
최종문: 캐테서비스파트 PM
- 역할: 캐치테이블 입사 후 B2B 향의 캐치테이블 포스 및 키오스크 신규 서비스 런칭과 운영을 담당.
- 현재: 캐치테이블 앱 내 지도와 검색 도메인의 고도화를 진행 중.
윤정: 플랫폼서비스파트 PM
- 역할: 플랫폼 서비스의 기획과 실행을 담당하며,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
지영: [파트명 미상]
- 역할: 플랫폼서비스파트에서 PM으로 활동하며, 서비스 개선과 신규 기능 개발을 주도.
문제 정의의 중요성
신입 PM으로서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입니다. 문제 정의는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정하고, 팀원들과의 효율적인 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올바른 문제 정의는 성공적인 서비스 개발의 기초가 됩니다.
신입 PM의 도전과 성장
신입 PM들은 경험 부족으로 인해 초기에는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지만, 다음과 같은 방식을 통해 이를 극복해 나갑니다:
- 지속적인 학습: 관련 서적과 자료를 통해 PM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이해를 높임.
- 팀과의 소통: 시니어 PM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실무 노하우를 습득.
- 사용자 중심 사고: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한 목표 설정.
깨달음과 성과
신입 PM들은 문제 정의 단계를 통해 얻은 깨달음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성과를 이뤄냅니다:
- 명확한 목표 설정: 프로젝트의 목적과 방향성을 분명히 함으로써 팀의 효율성을 증대.
-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문제와 목표를 명확히 전달하여 팀원 간의 협업을 강화.
- 지속적인 개선: 초기 문제 정의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선과 혁신을 추진.
함께 읽으면 좋은 참고 자료
- PM의 역할과 책임
- 효과적인 문제 정의 방법
-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원칙
[출처] 캐치테이블에서 신입 PM으로 살아남기 #1. 문제정의편. 캐치테이블에는 인턴부터 10년 차 이상의 시니어까지 다양한 연차의… | by